졸업 소요학점 구성
철학과 졸업 소요학점 구성표
학과 | 입학 년도 | 교양 | 전공 | 일반 선택 | 철학과 부전공자 이수학점 | 졸업 학점 | ||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전공학점 (최소전공인정학점) |
전공 심화 과정 | 계 | ||||||||||||
교양 필수 | 교양 선택 | 소계 | 전공 선택 | 전공 | 소계 | 부선 | 부전 | 소계 | ||||||
철학과 | 2014 | 12 | 15 | 27 | 0 | 39 | 39 | 21 | 60 | 43 | 0 | 21 | 21 | 130 |
2015 | 12 | 18 | 30 | 0 | 39 | 39 | 21 | 60 | 40 | 0 | 21 | 21 | 130 | |
2016 | 12 | 18 | 30 | 0 | 39 | 39 | 21 | 60 | 40 | 0 | 21 | 21 | 130 | |
2017 | 11 | 19 | 30 | 0 | 39 | 39 | 21 | 60 | 40 | 0 | 21 | 21 | 130 | |
2018 | 11 | 19 | 30 | 0 | 39 | 39 | 21 | 60 | 40 | 0 | 21 | 21 | 130 | |
2019 | 9 | 21 | 30 | 39 | 0 | 39 | 21 | 60 | 40 | 21 | 0 | 21 | 130 | |
2020 | 9 | 21 | 30 | 39 | 0 | 39 | 21 | 60 | 40 | 21 | 0 | 21 | 130 | |
2021 | 9 | 21 | 30 | 39 | 0 | 39 | 21 | 60 | 40 | 21 | 0 | 21 | 130 | |
2022 | 9 | 21 | 30 | 39 | 0 | 39 | 21 | 60 | 40 | 21 | 0 | 21 | 130 | |
2023 | 9 | 21 | 30 | 39 | 0 | 39 | 21 | 60 | 40 | 21 | 0 | 21 | 130 |
- 졸업 소요 학점의 입학년도별 세부 이수 사항은 -철학과 교과영역별 필수 이수 사항- 이하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- 편입학생은 본인의 입학년도 –2학년도 졸업소요학점 기준을 따름(2023학년도에 입학한 편입생은 2021학년도 입학자의 졸업소요학점 구성표를 따름).
- 철학과는 최소전공인정학점제 시행 학과인 이유로 단일전공 이수자(철학만 전공)는 전공심화과정 학점(21학점)을 반드시 취득하고, 복수(연계전공, 학생설계전공) 및 부전공을 이수하는 학생은 복수전공 및 부전공을 중도에 포기할 경우 전공심화과정 학점을 반드시 취득해야합니다..
- 철학과 주전공 학생은 전공심화, 부전공, 복수전공 중 1개를 필수 이수해야 합니다.
‐ 전공심화 : 최소전공학점(39학점) 외에 주전공 학점을 추가로 21학점 취득
‐ 복수전공 : 주전공 학과 외 타 학과 복수전공을 신청해, 복수전공학과의 최소전공학점 이수 및 졸업자격인정기준(학과마다 다름) 충족
‐ 부전공 : 주전공 학과 외 타 학과 부전공을 신청해, 부전공학과에서 요구하는 학점을 이수
※ 부·복수 전공은 30학점 이상을 취득한 이후에 신청 가능하고, 시기는 1월과 7월 중 포털에서 신청. - 교양최대인정학점 : 교양최대인정학점을 초과한 학점은 졸업소요학점으로 인정하지 않습니다.
- 2011년~2022년 입학자 : 42학점 졸업
- 2023년 이후 입학자 : 45학점 졸업
※ 졸업 소요학점 구성표에 따른 교양필수와 교양선택 학점을 초과해서 취득한 학점은 교양최대인정학점까지 졸업소요학점으로 인정하고 이 초과 취득학점은 일반선택학점으로 인정됩니다. - 일반선택이란 교양 초과취득학점, 타과 전공학점, 학과 최소전공인정학점을 초과해 취득한 학점, 일반선택으로 개설된 학점을 취득한 학점을 말합니다.
- 2013학년도 이전 입학자의 졸업 소요학점 구성은 철학과실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.
철학과 교과영역별 필수 이수 사항
교양필수 이수 사항
입학년도 | 교과목명 | 비고 |
---|---|---|
2007~2016 | 철학의 이해, 논리학, 글쓰기 | 3과목 |
2017~2018 | 철학의 이해, 논리학, 진로설계와자기이해 | 3과목 |
2019학년도 이후 | 철학과삶, 논리학, 동양사상과 현대의 만남 | 3과목 |
- [편입학생은 본인입학년도 -2학년도 기준을 따름 : 예)2023학년도 입학자는 2021학년도 입학자 기준 이수]
- 위 교과목 이수사항은 철학과 주전공 학생에게만 해당합니다.
교양과목 영역별 및 계열별 이수사항 (편입생은 해당 없음)
입학년도 | 계열별 이수 내용 |
---|---|
~1992 | 영역별 제한 없음 |
1993~1995 | 8개 영역 중 6개 영역 이수 |
1996~2006 | 8개 영역 중 4개 영역 이수 |
2007~2009 | 핵심교양 영역 중 3개 영역 이수 |
2010~2013 | 핵심교양(4개 영역) 영역 당 1 과목 이수 |
2014 | 핵심교양(4개 영역) 중 3개 영역 이수 |
2015 | 핵심교양 영역 중 자연과기술의이해 영역을 포함해 3개 영역 이수 |
2016 | 핵심교양(4개 영역 - 문학과 예술, 역사와 철학/ 사회의 이해/ 자연과 기술의 이해) 중 3개 영역 이수 핵심교양 ‘자연과기술의 이해’, 일반교양 [공학전문교양, 자연과학, 기술·공학] 영역에서 9학점이상 취득 |
2017~2018 | 핵심교양(4개 영역 - 문학과 예술, 역사와 철학, 사회의 이해, 자연과 기술의 이해) 중 3개 영역 이수 핵심교양 ‘자연과기술의 이해’, 일반교양 [공학전문교양, 자연과학, 기술·공학] 영역에서 9학점이상 취득 인문학 관련 교양 8학점 이상 취득 ▶인문학 관련 교양 영역 : 핵심교양 [문학과예술, 역사와 철학], 기초교양 중 기초도구(글커잉, 생활영어 1·2 제외 ), 일반교양 [문화예술, 인문학] |
2019~2022 | 역량교양(3개 영역) 영역 당 3학점 이수 균형교양 중 [자연과 기술] 영역에서 3학점, [표현과 소통] 영역에서 3학점, [진로와 창업] 영역에서 2학점 이수 인문학 관련 교양 8학점 이상 취득 ▶ 인문학 관련 교양교과목 인정 영역 : 역량교양 [창의, 감성, 공동체] 영역, 균형교양 [인간과 사회, [표현과 소통] 영역 |
2023학년도 이후 | 역량교양(3개 영역) 영역 당 3학점 이수 균형교양 중 [자연과 기술] 영역에서 3학점, [표현과 소통] 영역에서 3학점, [진로와 창업] 영역에서 2학점 이수 인문학 관련 교양 8학점 이상 취득 ▶ 인문학 관련 교양교과목 인정 영역 : 역량교양 [창의, 감성, 공동체] 영역, 균형교양 [인간과 사회, [표현과 소통] 영역 기초교양 [기초SW] 영역에서 3학점 이상 취득 |
- 2005년~2018년 입학자(인문사회계열)는 [자연의 이해] 또는 [자연과기술의이해] 영역 1 과목 포함 이수(2014년 입학자 제외)
외국어 영역 이수 사항
입학년도 | 인정 내용 |
---|---|
2000~2003 | 인정대상 외국어 : 영어, 독일어, 불어, 일본어, 중국어, 한문 (기타 언어에 대해서는 학과 교수회의를 통해 인정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.) 인정 기준 : 아래 항목 중 하나 이상의 요건을 충족하여야 한다. ① 정규 교육과정의 회화시간이 포함된 교과목을 1과목 이상 수강한 자(한문의 경우 교양교과목 ‘한문’을 수강한 자) ② 우리대학 언어교육원에서 실시하는 어학 관련 강좌를 45시간 이상 수강한 자. ③ 아래 시험에 응시하여 기준 점수(단계) 이상을 취득한 자. - 토플: 80(iBT), 토익: 500점(영어), ZDaF(독일어), JPT(일어): 300점, DELF(불어): A1, HSK(중국어): 3급 (단, TOEIC과 TOEFL은 우리대학교 언어교육원 모의토플, 모의토익, 실전토플, 실전토익으로 대체할 수 있다.) |
2004~2006 | 졸업자격인정영어(Global English) 1,2 이수결과 “S” 취득 |
2007~2009 | 졸업자격인정영어(GBE0004) 이수 |
2010~2013 | 생활영어1, 생활영어2 중 1과목 이수 |
2014~2018 | 글로벌커뮤니케이션잉글리쉬(이하 ‘글커잉’) 이수 ※ 2021년부터 글커잉 시험이 폐지됨에 따라, 글커잉 미이수자는 아래 2가지 사항 중 택 1해서 이수해야 함 ① 영어성적 제출(TOEIC, TOEIC Speaking, OPIC, TOEFL(CBT, PBT, IBT), TEPS, New TEPS, G-TELP, IELTS) ② 대체교과목 신청 - 교과목명 : 기초영어, 취업영어, 영어글쓰기, 영어읽기와토론 - 기 이수한 것은 인정하지 않음. 글커잉 대체교과목은 종강 전까지 개인이 포털에서 직접 신청 * 자세한 사항은 학기별 글커잉 관련 공지사항을 참고해서 해당 기한에 신청 |
2019~2022 | 다음 중 하나를 충족 ① [생활영어1], [생활영어2] 중 1과목 이수 ② TOEIC 500점 이상 취득(성적표 학과실 제출) |
2023학년도 이후 | 다음 중 하나를 충족 ① [생활영어1], [생활영어2] 중 1과목 이수 ② 아래 시험 중 하나를 기준 점수(단계) 이상 취득 *시험 : TOEIC 500점, JLPT N4, HSK 3급, Goethe-Zertifikat A2, DELF A2 |
- [편입학생은 본인입학년도 -2학년도 기준을 따름 : 예)2023학년도 편입학자는 2021학년도 입학자 기준 이수]
- 위 교과목 이수사항은 철학과 주전공 학생에게만 해당합니다.
전공영역 이수 사항
항목 | 내용 | 필수 여부 |
---|---|---|
최소 전공인정학점 | 전공, 또는 전공선택 39학점 이수 | 필수(주전공, 복수전공) |
전공심화 | 최소 전공인정학점 외 철학과 전공 21학점 추가 이수 | 철학과 학생 중 부·복수(연계전공) 미이수자만 해당 |
졸업인정자격기준 충족 | 졸업논문 합격 | 필수(주전공, 복수전공) |
- 졸업논문 참고사항
- 대상 : 졸업 학기인 철학과 주전공 및 복수전공자
- 기간 : 1학기(3월 중순~6월 중순), 2학기(9월 중순~12월 중순)
- 졸업논문 절차
: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졸업논문작성 계획서 제출
: 졸업논문 개요서 제출
: 졸업논문 발표문
: 졸업논문 공개 발표
: 졸업논문 완성본 제출
※ 졸업논문에 관련된 세부사항은 매 학기 초에 공지되는 공지사항을 참고하세요.
등록금 감면 장학금
- 학과에서는 매 학기 등록금감면 장학생을 선발합니다. 철학과의 등록금감면 장학생의 선발 기준은 직전학기 성적(70%)+기타(자기계발활동기록부 및 장학금신청서)(30%)로 등록금감면 장학금 신청서 제출자 중에서 우선 선발합니다. 등록금감면 장학금 신청서를 내지 않은 학생은 성적이 우수해도 장학금을 받지 못할 수 있습니다. 등록금감면 장학금은 다음 학기 등록금고지서에 장학금액만큼 감액되는 형태로 반영됩니다.(등록금액-장학금=실납부금액)
- 등록금감면 장학금 외에도 국가장학금 제도가 시행되고 있으니, 자신의 상황에 맞게 국가 장학금도 신청하시기 바랍니다. 국가장학금을 받은 학생은 우선선발자로 분류되어 학과장학금에서 제외되지만, 국가장학금에서 전액 장학금을 받지 않았다면 등록금감면 장학금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. 중복수혜는 가능하나, 등록금을 초과해서 장학금을 받을 수는 없습니다.